지진대피요령 총정리!
지진은 장소에 따라 대피 방법이 달라집니다. 실내·실외, 가정·학교·직장 등 상황별 지진대피요령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빠르게 생존법 확인하세요!
“쿵!”
순간적으로 바닥이 흔들리고, 전등이 요동칩니다. 머릿속이 하얘진 그 찰나, 당신은 어떻게 행동하시겠습니까?
우리는 지진을 영화나 뉴스로만 접했지만, 실제로 발생하면 5초 안에 생사가 갈릴 수 있는 재난입니다.
문제는, 지진은 미리 예고해주지 않고, 우리는 집에 있을 수도, 학교나 회사에 있을 수도 있다는 거죠.
실내와 실외, 가정과 직장, 학교 등 장소에 따라 행동요령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그렇다면 지금 필요한 건 단 하나, 어디에 있든 살아남는 방법을 미리 아는 것.
한눈에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실내에서의 기본 지진대피요령
- 탁자 밑으로 몸을 숨기고 머리를 보호
- 유리창, 가전제품 근처 피하기
-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 사용
- 흔들림 멈춘 뒤 가스·전기 차단
- 출구 확보를 위해 문은 미리 열기
실외에서의 기본 지진대피요령
- 간판, 유리창, 전신주 등 낙하물 피해서 이동
- 공터, 운동장, 주차장 등 넓은 장소로 대피
- 차량 안에서는 비상등 켜고 안전 정차
- 군중 밀집 지역은 피하기
가정에서의 대피요령
- 가족 간 대피 장소·연락 방법 공유
- 탁자 아래 → 문 열기 → 흔들림 멈춘 후 가스·전기 차단
- 비상 키트 눈에 띄는 곳 보관
- 아이·노약자 중심 대피 우선
학교에서의 대피요령
- 책상 아래 몸 숨기고 머리 보호
- 선생님 지시에 따라 운동장으로 대피
- 엘리베이터 사용 절대 금지
- 복도, 체육관 등 낙하물 위험 지역 주의
직장에서의 대피요령
- 책상 아래 또는 내진기둥 옆 대피
- 비상계단 이용, 엘리베이터 사용 금지
- 전기·기기 전원 차단
- 회사 내 대피 경로 미리 숙지
지진 생존 키트 체크리스트
항목 | 설명 |
---|---|
손전등 | 정전 시 사용 |
응급약품 | 개인약, 구급약 포함 |
생수·비상식량 | 최소 3일분 |
호루라기 | 구조 요청 시 사용 |
라디오 | 공공 방송 수신 |
가족 연락망 | 대피소, 연락처 공유 |
지진 이후 행동 요령
- 여진 주의하며 완전히 건물 밖으로 대피
- 공식 정보(TV, 라디오, 스마트폰 등) 확인
- 허위 정보·루머 공유 금지
- 노약자, 장애인, 어린이 우선 구조
- 승인 전까지 붕괴 위험 지역 진입 금지
지진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장소별 행동요령을 숙지하고 대비하세요.
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Q&A
Q1. 지진 날 때 집에서 아이랑 단둘이 있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가장 먼저 테이블 아래로 아이와 함께 숨고, 머리를 베개나 옷으로 보호하세요.
흔들림이 멈춘 후 엘리베이터는 절대 사용하지 말고 계단으로 대피합니다.
사전에 아이와 함께 지진대피훈련을 해두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Q2. 지진 오면 아파트에서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하나요?.
아니요. 진동 중에는 이동하지 말고, 실내에서 안전 확보가 우선입니다.
테이블 아래에 몸을 숨기고, 진동이 멈춘 후 계단을 이용해 대피하세요.
※ 고층 아파트일수록 엘리베이터는 절대 금지입니다.
지진대피소, 재난문자, 기상특보를 실시간 확인하려면 ‘안전디딤돌 앱’을 꼭 설치하세요!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이동합니다.
Q4. 지진 생존키트는 꼭 사야 하나요? 집에 있는 걸로 대체 못 하나요?꼭 구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손전등, 생수, 비상식량, 휴대용 라디오, 개인약, 호루라기 등
기존 물품으로도 충분히 준비 가능합니다. 단, 한 곳에 모아두는 게 핵심입니다.
Q5. 회사에서 지진 나면 상사보다 먼저 도망쳐도 되나요?
재난 상황에선 자기 보호가 최우선입니다.
책상 아래 대피 후, 상황을 보고 침착하게 대피하세요.
평소에 사내 비상 대피 루트와 지침을 미리 숙지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Q6. 아이가 학교에서 지진 나면 부모가 바로 데리러 가야 하나요?
절대 아닙니다.
학교는 자체 대피 매뉴얼에 따라 운동장 등 안전 구역으로 대피시킵니다.
보호자가 이동 중 2차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
학교 공지 또는 관공서 연락을 기다리는 것이 원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