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분들에게 꼭 필요한 복지 서비스 중 하나가 바로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입니다. 이 제도는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인해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분들에게 국가가 활동지원인력을 파견해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란? 제도 개요와 목적
장애인 활동지원제도는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만 6세 이상 ~ 만 65세 미만의 등록 장애인 중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사람에게 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 복지사업입니다.
- 장애인의 자립 생활 지원
- 사회참여 기회 확대
- 가족의 돌봄 부담 경감
- 삶의 질 향상
2024년 기준 활동지원 서비스 대상자 및 신청 자격
기본 신청 자격
- 등록 장애인
- 만 6세 이상 ~ 만 65세 미만
- 장애 정도가 심하거나 일상생활 제약이 큰 경우
우선 지원 대상
- 독거 중증장애인
- 중증 장애아 가족
- 발달장애 졸업자
- 희귀난치성 질환자
※ 장기요양등급 판정 후 불가 시 예외적 신청 가능
지원 서비스 종류와 시간, 비용 안내
지원 내용
- 신체활동: 목욕, 식사, 옷입기, 화장실
- 가사활동: 청소, 식사준비
- 사회활동: 외출 동행, 병원 동행
- 개인활동: 교육기관 동행, 복지관 이용
- 긴급지원: 24시간 단기 지원
지원 시간
- 월 60~480시간
- 조사 결과 및 가족 돌봄 상황에 따라 결정
- 추가급여 가능 (발달장애 등)
본인부담금
- 중위소득 100% 이하: 면제
- 중위 100~200%: 월 1~2만 원
- 고소득층: 월 15~40만 원
신청 방법과 이용 절차
신청처
-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필요 서류
- 장애인등록증
- 건강보험증
- 가족관계증명서
- 의사진단서 (필요 시)
절차
- 신청
- 활동지원 인정조사
- 서비스 등급 및 시간 책정
- 이용계약 체결
- 활동지원사 배정 및 이용 개시
결론: 일상을 바꾸는 복지, 지금 꼭 신청하세요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는 장애인의 자립과 사회 참여를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핵심 복지제도입니다. 2024년에는 더 많은 시간과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본인부담금 경감도 이루어졌습니다.
지금 바로 주민센터나 복지로에서 신청해보세요. 삶의 질이 달라지는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