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생아 분만 중 골절?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와 원인, 치료까지 총정리”

by chiefnursingofficer 2025. 5. 15.
반응형

 

신생아도 분만 중 골절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가장 흔한 부위부터 원인, 치료법, 후유증까지 정확히 알려드립니다.

 

🦴 신생아 분만 중 골절, 가장 흔한 부위와 원인 정리

 

1.가장 흔한 신생아 골절 부위: 빗장뼈(쇄골)

📍 발생률:

  •  1,000명 중 1~3명 정도 발생
  • 신생아 골절의 50% 이상이 쇄골 골절

📍 발생 위치:

  • 대부분 왼쪽 쇄골, 간혹 양쪽 또는 오른쪽

📌 쇄골 골절이 가장 흔한 이유

  1. 어깨 난산 (Shoulder dystocia)
    → 아기의 머리는 나왔지만 어깨가 산도에 걸리는 경우, 어깨에 강한 압력 작용
  2. 체중이 큰 아기 (거대아, 4kg 이상)
    → 산도를 통과하는 데 어려움이 많고 의료진이 당겨야 하는 상황이 많음
  3. 흡입분만, 겸자분만 등 기구 사용
    → 기계적 힘이 분산되지 않고 상체로 집중될 수 있음
  4. 급속 분만, 빠른 진행
    → 산도 압력이 충분히 조절되지 않고 갑자기 분출되듯 분만될 경우 발생
  5. 제왕절개 시 과도한 견인
    → 특히 산도가 좁고 아기가 깊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자궁절개 후 꺼낼 때 힘이 집중됨

                ⚠️ 제왕절개에서도 골절이 100% 예방되지는 않습니다.
                            특히 **난산이나 위치 이상(둔위, 횡위)**일 때 주의 필요


⚕️ 그 외 흔한 골절 부위 (희귀하지만 주의 필요)

부위발생 상황
상완골 (팔 위쪽 뼈) 겸자 또는 강한 견인 시
대퇴골 (허벅지 뼈) 제왕절개 도중 다리부터 꺼낼 때 힘이 과도하게 작용
늑골 (갈비뼈) 흉부 압박이나 강한 산도 압력, 심폐소생술 시행 시
척추 (매우 드묾) 선천성 질환 동반 또는 격한 조작 시 가능성 있음
 

🔍 골절 의심 증상 (신생아에게서 이런 모습 보이면 병원으로)

  • 팔이나 어깨를 잘 움직이지 않음
  • 통증 반응 (수유 거부, 울 때 특정 부위 움직이지 않음)
  • 붓기, 멍, 비정상적인 움직임
  • 만졌을 때 딱딱한 돌기나 갈라지는 느낌 (골절부위 비정상적인 뼈 촉감)

🩺 치료 및 예후

  • 대부분의 쇄골 골절은 석고 고정 없이도 자연 치유됨 (2~3주 내 회복)
  • 심한 경우 팔 고정용 슬링을 사용하거나 정형외과 진료 필요
  • 골절 자체보다 신경 손상(팔신경총 손상) 동반 여부가 더 중요

        👶 신생아 골절은 예기치 못하게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예후가 좋으며
               조기 진단과 안정된 회복 환경이 제공되면 후유증 없이 회복 가능합니다.


🦴 신생아 분만 중 골절 Q&A|커뮤니티에서 가장 자주 묻는 질문


Q1. 신생아도 출산 중에 뼈가 부러질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신생아는 뼈가 유연하지만 분만 중 강한 압력, 견인력, 어깨 걸림(Shoulder dystocia) 등이 작용하면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부위는 **쇄골(빗장뼈)**입니다.( 📌 출처:대한소아과학회)

Q2. 제왕절개했는데도 골절이 생길 수 있나요?

A. 네, 생길 수 있습니다.
제왕절개라고 해도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아기가 골반 깊이 박혀 있어 강한 힘으로 꺼낼 때
  • 둔위(엉덩이 먼저) 분만 시 다리를 먼저 당길 때
  • 쌍둥이 중 둘째 아기를 꺼낼 때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이런 경우 상완골(팔), 대퇴골(다리) 같은 부위에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출처:대한산부인과학회

Q3. 신생아가 골절되면 바로 알 수 있나요?

A. 대부분 출생 직후에는 아기가 해당 팔이나 다리를 잘 안 움직이는 모습, 울음 시 특정 부위 반응 없음, 붓기나 멍으로 이상을 감지합니다.
의료진이 출산 직후 신체검진 중에 발견하거나, 부모가 수유 시 이상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X-ray 검사로 확인되며, 신경 손상이 동반되었는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출처:소아정형외과학회

 

Q4. 가장 흔한 골절 부위는 어디인가요?

A. 신생아 골절 중 약 80% 이상은 **쇄골(Clavicle)**에서 발생합니다.
그 외에 드물게 발생하는 부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위발생 이유
쇄골 어깨난산, 기계분만, 거대아
상완골 겸자분만 시 팔에 과도한 힘 작용
대퇴골 둔위 제왕절개, 하반신 끌어낼 때 힘 과다
늑골 (갈비뼈) 심폐소생술 또는 강한 흉부압박
 

📌 출처:대한소아정형외과학회

 

Q5. 신생아 골절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평생 후유증 남을 수 있나요?

 

A.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수술 없이 자연 치유됩니다.
쇄골 골절의 경우 2~3주 이내 회복되며, 팔을 움직이지 않게 슬링 고정이나 속싸개 고정 정도로 충분합니다.

하지만 **신경 손상(특히 상완신경총 손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 신경 재활 물리치료 필요
  • 회복까지 수개월 소요 가능
  • 일부에서 움직임 제한이나 약화가 지속될 수도 있음

📌 출처:대한재활학회

Q6. 이런 상황을 미리 예방할 수는 없나요?

A. 완전한 예방은 어렵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 사전에 조치가 가능합니다:

  • 거대아 (4kg 이상) → 제왕절개 고려
  • 당뇨병 산모 → 정밀 초음파로 아기 체중 정밀 예측
  • 이전 출산에서 어깨 걸림 경험 → 고위험 분만병원 권장
  • 겸자·흡입분만은 숙련된 의사만 시행

산전 관리와 분만 계획을 철저히 하면 위험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출처:산부인과학회 고위험분만